지조와 의리

 

 

추사 김정희의 증조부는 임금인 영조의 사워였다.

덕분에 추사는 어린 시절부터 남부러울 게 없는 생활을 하였다.

그러던 그가 55세 때 당쟁에 휩쓸려

제주도로 유배를 가게 되었다.

반대파들의 박해는 갈수록 심해지고

친구들의 소식도 점점 줄어들었다.

가장 친한 친구

그리고 사랑하는 부인의 죽음도 지켜볼 수가 없었다.

명망 있던 남편을 귀양 보내고

눈물로 지냈을 부인의 심정을 생각하면 너무나 마음이 아팠다.

그리움과 원망을 시로 담았다.

 

<어떻게든 월하노인 저승 법정 세워놓고

내세에는 남편 아내 처지 바꿔 태어난 뒤

나 죽고 천리 밖에 그대 혼자 남게 하여

나의 이 슬픈 심정 그대도 알게 하리.>

 

평생 고생을 모르던 추사로서는

유배 생활이 몹시도 견디기 힘들었다.

제자였던 이상적은

그런 김정희의 심정을 누구보다도 잘 이해하고 있었다.

통역관이었던 이산적은 중국에 사신으로 갈 때마다

최신의 서적들을 구해다 김정희에게 보내주었다.

 

그것들은 모두 쉽게 구할 수 없는 책들이었다.

특히 『경세문편(經世文編)』 같은 책은

권력 있는 사람에게 바치면 출세가 보장된 만큼 귀한 책이었다.

그러나 이상적은

유배되어 아무 힘도 없는 김정희에게 보내주었다.

이상적의 변함없는 지조에 감동한 추사는

소나무와 잣나무의 기개를 떠올려 세한도(歲寒圖)를 그렸다.

세한도는 쓸쓸함과 적막함.

그리고 날씨의 추위가 아니라 세월의 한기가 느껴진다.

 

추사 자신의 공허하고 고독한 마음을 나타내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겨울이 온 후에야 소나무와 잣나무의 푸름이 더욱 돋보인다.

지금 그대가 나를 대하는 것이

귀양 온 뒤라고 해서 더 못한 것도 없다,.

그러나 이전의 그대는 특별함이 없었지만

이후의 그대는 성인의 칭찬을 받을 만하지 않는가?'

 

세한도는 미학적 아름다움 못지않게

그 속에 담긴 '지조와 의리'가 작품의 품격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세상에 그 절개를 알아주는 사람이 있어도

소나무와 잣나무는 그대로이고

세상에 그 절개를 알아주는 사람이 없어도

소나무와 잣나무는 그대로이다.

겨울이 와도 변하지 않는 '지조와 의리'를 지녀야 한다.

'대숲은 바람을 잡지 않는다 - 황 태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요  (0) 2017.07.03
그림자  (0) 2017.07.02
새날  (0) 2017.06.30
붉은 소변  (0) 2017.06.29
닉 부이치치  (0) 2017.06.28

+ Recent posts